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평균임금 통상임금 계산): 계산기 사용

by gmer3 2025. 1. 8.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은 근로자의 임금 계산 및 보상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은 노동자의 임금 산정 시 정확한 계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


1.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
평균임금 산정 제외기간

평균임금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산재보상, 퇴직금, 휴업수당 등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임금"**입니다. 평균임금을 산정할 때에는 근로자가 정상적으로 근로하지 못한 기간과 임금을 제외합니다.

① 산정 제외기간이란?

근로자가 특정 사유로 인해 정상적인 근무를 하지 못했거나, 비정상적으로 많은 임금을 받은 기간을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하는 것을 말합니다.

② 제외기간에 해당하는 사례

  • 업무 외 사고로 인한 휴업 기간
    • 산재와 무관한 개인적 사유로 업무를 수행하지 못한 기간.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은 법적으로 보장된 휴직 기간이므로,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 병가 및 휴직 기간
    • 질병이나 개인적 사유로 근로가 중단된 기간.
  • 휴업 기간
    • 회사의 사정으로 인해 업무가 중단된 경우.
  • 임금이 비정상적으로 지급된 기간
    • 특별한 사유로 인해 보너스나 상여금 등 임금이 과도하게 지급된 경우.

③ 제외기간 산정 방법

  • 제외기간 동안의 일수를 총 계산하고, 이를 평균임금 산정 대상 기간에서 제외합니다.
  • 예를 들어, 퇴직 전 3개월 동안 병가로 20일을 근무하지 않았다면, 3개월(90일) - 20일 = 70일로 계산됩니다.

평균임금 계산 및
퇴직금 계산방법


2.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은 임금 계산에서 자주 혼동되는 개념이지만, 각각의 정의와 사용 목적이 다릅니다.

① 평균임금이란?

평균임금은 근로자의 소득 보장을 위해 특정 사건(퇴직, 산재 등)에서 기준이 되는 임금입니다.

계산 공식

  • 평균임금 = (산정 대상 기간의 총 임금) ÷ (산정 대상 기간의 총 일수)

적용 사례

  • 퇴직금 계산
  • 산재보상금
  • 휴업수당 계산

② 통상임금이란?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정기적으로 지급받는 고정적인 임금으로, 주로 근로 시간에 따라 지급됩니다.

계산 공식

  • 통상임금 =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된 임금) ÷ (총 근로 시간)

적용 사례

  •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 주휴수당 계산

상임금 계산방법 및
상여금과의 관계


③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주요 차이점

구분 평균임금 통상임금
개념 산정 기간 동안 받은 총임금을 기준으로 평균을 계산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 계산
산정 기준 퇴직, 산재보상, 휴업수당 등 연장·야간근로수당, 주휴수당 등
산정 제외 비정상적인 휴업·휴가 기간 별도의 제외기간 없음
사용 목적 근로자의 생활 안정 및 보상 기준 근로시간에 따른 수당 산정 기준

3.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계산 시 유의점

  1. 정확한 근로일수 파악
    • 평균임금을 산정할 때는 제외기간을 정확히 계산하여 산출해야 합니다.
  2. 정기적 지급 여부 확인
    •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은 정기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에 한정됩니다.
  3. 소송 및 분쟁 시 참고 자료
    •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은 소송 및 임금 분쟁에서 주요 증거가 될 수 있으므로, 계산 과정을 명확히 기록하세요.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은 근로자의 임금 계산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각각의 정의와 목적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평균임금 산정 시 제외기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통상임금의 고정성을 기준으로 한 임금 항목을 구분한다면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